
【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 옹진군이 대청면 대청리 413-4 일대에 연면적 663.18㎡ 규모의 대청면 직원 관사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불량 레미콘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부실 공사 및 환경 오염 논란이 제기되면서 주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해당 관사는 오는 10월 준공을 목표로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되고 있다. 그러나 백령면에 KS 인증을 획득한 관급 자재 납품업체가 2곳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 당국이 품질 보증이 되지 않은 불량 레미콘 사용을 묵인하고 승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하지 않은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불량 레미콘 공급을 위해 대청도의 후미진 곳에 골재와 중장비, 불량 모래가 방치돼 있어 환경 오염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시설이나 기계 설비 없이 바닥에서 시멘트와 골재를 중장비로 혼합하는 방식이 사용되면서, 시멘트 가루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주민들은 이러한 작업 방식이 몽골의 황사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소청도의 경우 물 부족으로 정화조에서 흘러나오는 물과 군부대 폐수를 이용해 불량 레미콘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 준공된 건물에서는 외벽 및 바닥에서 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부실시공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백화 현상은 콘크리트 내부의 석회 성분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장기적으로 건물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와 관련해 군 관계자는 “대청면에는 레미콘 업체가 없고, 백령도에서 대청도까지 레미콘 차량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백령-대청-소청을 운항하는 ‘나래호’를 활용하면 KS 인증을 받은 정식 레미콘 공급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나래호를 통해 레미콘을 공급하면 비용 면에서도 현장 비빔 방식보다 경제적이라는 점이 입증되고 있다.
또한, 옹진군 덕적도에도 KS 인증을 받은 레미콘 업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 당국이 불량 레미콘 사용을 사실상 조장하는 현장 비빔 설계를 고수하고 있어 부실시공 및 환경 오염을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행정적 실수가 아니라, 군 관계자들의 안일한 행정이 빚어낸 구조적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주민들은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한 주민은 “군 공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 피해는 주민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며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도 심각한 만큼 관계 기관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관계 당국은 해당 사안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조사에 착수해야 하며, 부실시공이 확인될 경우 책임자를 문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옹진군 공사에서의 투명성과 품질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군 관계자는 푸른나래호가 하루 2회 왕래가 되면서 레미콘 공급이 하루 2번 가능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그는 건축공사 현장에 따라 특성이 있다,"라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