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 국내 관세청의 사이버보안 장비 5대 중 1대가 이미 내용연수를 초과한 노후 장비인 것으로 나타나, 사이버 안보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인천 연수을)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세청이 운영 중인 29종 97대의 보안장비 중 9종 17대(약 18%)가 이미 내용연수를 초과한 상태다.
내용연수는 물품관리법에 따라 최소한의 수리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효과적 사용기간을 의미하며, 이를 초과한 장비는 노후화된 장비로 간주된다.
최근 2년간 관세청 사이버 공격 시도는 6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2023년 513건이던 공격 시도는 지난해 2913건으로 급증했으며, 올해 8월까지 이미 1119건을 기록했다.
공격 유형도 ▲웹 접근 시도 ▲스캐닝 ▲비인가자 접속 ▲DDoS ▲악성프로그램 등 지능화·다변화되고 있다.
하지만 핵심 방어 장비인 무선위협차단시스템은 지난 2014년 도입 이후 11년째 사용 중이며, 통합로그분석시스템과 유해사이트차단시스템 등도 2016년 도입 이후 9년째 교체 없이 운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이버보안 장비는 단순 물리적 내구성이 아니라 기술적 최신성이 곧 보안성과 직결된다”며, **내용연수를 초과한 장비는 최신 위협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워 탐지·차단 성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사이버보안 장비는 단순한 행정자산이 아니라 국가 사이버 안보의 최전선에 있는 디지털 방패”라며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보안 예산과 장비 교체 주기를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세청은 국가 물류·통관의 핵심 기관으로, 단 한 번의 보안 사고가 국가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사이버보안 체계 전반 점검과 예산 확충을 통해 국민의 정보와 국가 시스템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