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얼굴인식 출국 서비스인 ‘인천공항 스마트패스’를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전체 탑승구에 확대 적용하여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패스는 2023년 7월 국내 최초로 도입된 얼굴인식 출국 서비스로, 사전 등록된 안면정보를 활용해 출국장과 탑승구에서 여권이나 탑승권 없이 얼굴인식만으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최초 도입 이후 출국장에서 주로 이용되었으나, 공사는 일부 항공기 탑승구 지역에서의 시범운영을 거쳐 제1․2여객터미널 전체 탑승구(총 158개소)에 스마트패스 단말기를 설치했으며, 오늘부터 전체 탑승구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됐다. 다만, 탑승구에서 스마트패스를 이용하려면 항공사의 관련 인증이 필요하며, 현재 스마트패스 이용이 가능한 항공사는 대한항공, 에어프레미아 등 11개 항공사이다. 또한, 세부 항공편별 스마트패스 운영 여부는 항공사별 자체 운영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용 전 항공사에 확인이 필요하다. 인천공항공사는 앞으로도 취항 항공사와 협의를 지속하여 스마트패스 이용 가능 항공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전용 모바일 앱(ICN SMA
【우리일보 구광회 기자】 인천환경공단이 2025년 신규 임용 직원 28명을 대상으로 시민 환경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5일간 총 40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공단의 새로운 경영 전략을 내재화하고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 교육은 공단의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청렴·안전 전문 교육, AI와 공공데이터 활용 업무 역량 강화, CS 고객 서비스 교육 등 다양한 과정으로 구성됐다. 내부 및 외부 전문가를 초청해 실무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이 진행됐으며, 공단의 4대 전략 목표(기술 경쟁력 향상, 안전관리 강화, 성과 중심 조직문화 구축, 시민 중심 공공복리 증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도 제공했다. 교육 마지막 날에는 신규 직원들이 공단의 경영 전략과 연계한 포부를 발표하는 핵심 가치 영상제와 김성훈 이사장과 직접 소통하는 'CEO와 신규 직원 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를 통해 직원들은 공단의 미래 방향성을 함께 고민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성훈 이사장은 "신규 임용 직원들은 공단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인재"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에게 신뢰받는 환경 전문 공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공단
【우리일보 이진희 기자】 인천시가 주최하고 인천관광공사가 주관하는「제16회 INK(Incheon K-pop)콘서트」가 오는 10월 25일 인천 상상플랫폼 1883 개항광장에서 개최된다. 2009년부터 매년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려온 INK콘서트는 올해 처음으로 상상플랫폼으로 무대를 옮긴다. 상상플랫폼은 인천 원도심의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인근에 차이나타운·개항장거리·월미도 등 대표 관광지가 위치해 있어 공연과 관광을 함께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다. 이번 공연을 통해 지역 원도심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국내외에서 최고의 인기를 끌고 있는 ▲보이넥스트도어(BOYNEXTDOOR) ▲키스오브라이프(KISS OF LIFE) ▲에잇턴(8TURN) ▲이펙스(EPEX) ▲영파씨(YOUNG POSSE) ▲킥플립(KickFlip) ▲아이딧(IDID) ▲태호(TAEHO) 등 국내 정상급 K-POP 아티스트 8개 팀이 출연해 인천의 가을밤을 화려하게 수놓을 예정이다. 본 공연에 앞서 현장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사전 붐업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랜덤플레이댄스를 비롯해 출연진 3팀이 참여하는 미니 팬미팅이 진행되며, K-콘텐츠·K-뷰티·K-푸드를 즐길 수 있는
【우리일보 김선근 기자】 부산의 가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축제의 향연이 펼쳐졌다. 2025 제51회 수영전통민속예술제가 6일 낮 12시, 수영민속예술관 놀이마당에서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공개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시·국가 지정 무형유산을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는 자리로, 가족 단위 관람객부터 민속 예술 애호가까지 폭넓은 관람객이 함께했다. 무대 위에서는 시 지정 무형유산 수영농청놀이와 수영지신밟기, 국가 지정 무형유산 수영야류와 좌수영어방놀이가 화려하게 펼쳐졌다. 논농사와 보리타작, 소싸움 등 농민의 생활을 담은 수영농청놀이는 관객들에게 흥겨움과 향수를 동시에 안겼으며, 수영만 어로작업을 재현한 좌수영어방놀이는 어민들의 호흡과 손놀림을 생생히 전달하며 박수갈채를 받았다. 특히 탈춤 수영야류와 세시풍속 민속놀이 수영지신밟기는 탈과 장단, 화려한 의상과 움직임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무대와 객석이 하나 되는 장관을 연출했다. 이와 함께 구례잔수농악, 광주칠석고싸움놀이, 동래학춤 등 전국 각지의 민속공연이 무대를 가득 채워 축제의 풍성함을 더했다. 행사를 주관한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 관계자는 “이번
【우리일보 노연숙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김광수)은 교육부가 올해 처음 추진하는 ‘2025년 자기주도학습센터 공모사업’에서 우리 교육청 산하 신제주외국문화학습관이 최종 선정되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고등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가 올해 처음 추진한 것이다. 도교육청은 신제주외국문화학습관 1층을 자기주도학습센터로 지정해 운영한다. 센터에서는 제주시 동지역 중학교(한라중, 노형중, 제주중앙중, 제주서중) 재학생 25명을 선발해 학습코디네이터가 상주하며 개별 학습 목표 설정과 공부 전략 개발, 학습의 전 과정 관리를 지원하고 한국교육방송공사 교육·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질 높은 공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학습코디네이터는 자기주도학습 실천 현황을 정기적으로 진단하고 학부모 상담을 실시해 성취 변화 추이를 분석·공유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가 성장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인공지능 단계별 추천학습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수준별 학습 진단, 콘텐츠 추천, 학습 진도 관리, 학습 습관 형성을 지원하며 주 1회 그룹 코칭을 통해 다양
【우리일보 이기수 기자】 6일 낮 12시 40분께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에 위치한 한 건설자재 보관 창고에서 큰불이 발생했다. 이 화재로 인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1층짜리 창고 건물이 전소되면서 발생한 다량의 검은 연기가 상공으로 치솟아 시민들의 119 신고가 빗발쳤다. 신고를 접수한 김포소방서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했으며, 화재 발생 7분 만인 낮 12시 47분 관할 소방서 인력 전체가 출동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총력 진화에 나섰다. 소방 당국은 신속한 대응으로 큰 불길을 잡은 뒤, 오후 1시 17분을 기해 대응 1단계를 해제했다. 화재 당시 김포시는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전류리 창고 화재 발생, 안전사고에 유의하고 차량은 우회해달라"는 내용의 재난 문자를 발송하며 추가 피해 방지를 당부했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현재 잔불을 정리하고 있으며, 진화 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재산 피해 규모를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우리일보 이은영 기자】 인천대 운동건강학부 고주필 교수는 최근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JSR)』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으로 재선임됐다. 이번 재임은 2025년부터 시작되는 3년 임기로, 고 교수의 국제학술지 편집 역량과 연구 신뢰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결과이다. 고 교수는 2022년부터 JSR의 부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스포츠재활 및 운동과학 분야의 핵심 주제에 대한 논문 심사와 편집 업무를 담당해왔다.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은 1992년부터 Human Kinetics에서 발행되어 온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로, 스포츠의학 이론과 현장 적용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현재 SCI 등재 학술지로서 영향력 지수(IF)는 1.5에 이른다. 인천대학교 관계자는 “이번 재선임은 고 교수 개인의 연구 역량뿐만 아니라, 국내 스포츠과학과 재활 연구의 국제적 수준이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라며, “앞으로도 우리 연구자들이 글로벌 학술 생태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고주필 교수는 스포츠 손상 예방과 재활 분야에서 활발한
【논평】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100일을 맞았다. 짧은 기간 동안 새로운 시도와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개선에서는 여전히 부족함이 드러났다. 정치적 구호보다 실질적 과제를 풀어내야 진정한 국민통합에 다가설 수 있다. 먼저 정치·사법 분야에서 국무회의 공개는 의미 있는 변화였다. 정부 최고 의사결정 과정을 국민 앞에 드러낸 것은 투명성과 소통을 강화하는 시도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인사권과 사면권 행사에 있어 많은 우려가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인사배제 기준을 마련하지 못했고, 내각 구성 과정에서 검증 논란이 잇따르며 국민 신뢰를 잃었다. 일부 정치인과 경제범죄인에 대한 사면은 법치주의 훼손과 정치적 거래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대통령 권한 행사에 책임성을 부여할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한편, 검찰개혁은 형사사법 체계를 바꿀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수사·기소 분리라는 대원칙에는 많은 공감대가 있었으나 검찰청 폐지나 보완 수사권과 같은 주요 쟁점을 충분한 논의 없이 추진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부동산 분야는 대선 공약단계에서부터 구체적인 정책이 제시되지 않아 관심이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공공택지를 민간에 팔아버리는 땅
【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우리일보 이재환 기자】 부안군은 지난 11일 ‘제3차 부안군 평생교육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향후 5년간 군민 중심의 평생학습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 체계적인 전략수립과 실천가능한 중장기 로드맵 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보고회에는 평생교육 관련부서와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해 연구 수행기관의 발표내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수행기관인 예스티엠(주)는 지난 5개월동안 국가 및 전북도 상위계획과 부안군 군정방향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군민의 평생교육 요구와 실태조사 및 이해관계자들의 집단인터뷰를 통해 청우평생학습관 운영방향과 부안군만의 특화사업을 담은 비전과 전략과제를 제시했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부안군은 2017년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이후, 기틀을 다지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며 “앞으로도 시대변화와 지역특색을 반영한 파급력있는 평생학습 정책을 통해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도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