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치매’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게 기억력 저하다. 실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 대부분으로 기억력 저하가 우선적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보다 정확히는 기억력 저하뿐 아니라 인지 저하가 동반되면서 평소 혼자서도 잘하던 전화 걸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씻기 등 일생생활에 불편감을 느끼게 될 때 비로소 치매로 진단된다.
치매의 진단은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이 아닌, 신경인지검사를 통해 인지저하를 객관화해 진행된다.
치매 환자 100만명 시대 ‘눈 앞’… 80대중반 절반이 치매 진단 가능성 중앙치매센터가 지난 3월 발표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을 보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 수는 70만5473명으로 추정됐다. 치매 유병률은 10%.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이후에도 치매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4년 100만명, 2039년 200만명, 2050년 3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송인욱 교수는 “치매 환자는 뇌에 특정한 독성 단백질(아밀로이드)이 쌓이거나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겨 뇌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기억장애 등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상행동이나 시공간 장애, 망상, 환시 같은 환각, 공격적인 행동 등이 동반될 수 있다”며 “예상 통계에 따르면 80대 중반이 되면 50% 정도가 치매 진단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전했다.
치매 원인은 아직… 뇌염․수두증 등에 의한 치매는 치료 가능
치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 흔한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해마 중심으로 뇌 위축이 진행하면서 시작된다. 초기에는 기억저하 중심으로 나타난다. 조직검사 상 신경섬유반 및 아밀로이드 반응이 발견돼야 확진된다. 현재까지는 임상적추정진단 만이 가능한 상황이다.
두 번째로 많은 혈관성 치매는 뇌기능을 담당하는 뇌부위에 뇌졸중 발생 시 갑자기 발생하는 전략적 혈관성 치매와, 다발성 뇌허혈성병변 등으로 인해 서서히 증상이 나타나는 혈관성 치매가 있다.
또 신경퇴행성질환 중 2번째로 많은 파킨슨병과 동반된 치매가 있는데 파킨슨병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한다. 기억장애 뿐 아니라 초기에 이상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환시, 증상의 변동, 파킨슨 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 루이체 치매가 있다. 송인욱 교수는 “치매는 각각의 진단에 따라 약물선택 및 전반적인 치료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 및 그에 적절한 약물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치료가 가능한 치매도 있다. 치매의 원인 중 신경퇴행성 질환 이외에 뇌염이나 수두증, 뇌병증, 또는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매의 경우 적절한 치료로 치매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최근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유전적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족력을 가진 대표적 유전자는 프레시닐린(Preseniline) 1과 프레시닐린 2, 아밀로이드 유전자 등 3가지다. 이들 유전자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한다. 송인욱 교수는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유전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치매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예방 위해선 수면 등 규칙적으로… 적절한 치료-위험인자 관리 병행해야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면과 식생활을 포함한 규칙적인 생활과 함께 혼자 지내는 시간을 줄이고 외부와 어울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외에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송인욱 교수는 “현재의 치매의 개념은 예전의 노망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친근한 환경과 친근한 사람들 사이에서 편한 생활을 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적절한 레저 활동이나 취미활동, 가능한 사회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이 치매 진행과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병원 주치의를 통한 적절한 치료 및 위험인자 관리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