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일보 김지윤 기자】 부산시는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상수도관·계량기 동파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4~2025 겨울철 상수도 동파 예방 대책’을 오늘(14일)부터 가동한다. 시는 최근 기온 변화가 커지고 급격한 한파가 반복되는 만큼, 올해는 평년 대비 강화된 조치를 마련해 동파 취약 지역과 시민 생활권을 중심으로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겨울철 내내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하며, 급수 상황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동절기 급수상황실’을 운영한다. 동파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긴급복구반을 확대 편성하고, 동파 우려가 높은 노후관·지하수관·공사 현장 주변에 대한 순찰도 강화한다. 지난해 한파 때 동파가 발생했던 구간은 특별 관리 대상에 포함됐다.
시민들의 일상과 밀접한 계량기 동결 예방을 위해 계량기 보온재를 무상 지원하고,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단독주택 밀집지역 등을 대상으로 보온재 설치 방법 안내도 실시한다. 특히 독거어르신, 저소득층, 주거 취약가구 등 동파 위험이 큰 시민을 대상으로는 담당 구·군과 연계해 집중 점검을 진행한다. 시는 “보온재만 잘 설치해도 동파 사고의 60%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며 시민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부산시는 시민 참여형 예보 시스템도 강화한다. 한파특보가 발령될 경우 문자알림, SNS, 지역 방송 등을 통해 시간별 대응 요령을 안내하고 동파 신고 상황도 실시간 공유한다. 지난해 동파 신고는 약 2천여 건으로, 시는 올해 대응 체계를 강화해 신고 건수를 크게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배관 시공업체와 공동 대응 체계도 가동된다. 긴급 복구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자재·장비 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복구 후 수질 안정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도 병행한다. 동파 복구는 시민의 일상과 직결되는 만큼 속도와 안전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물 문제는 단순한 편의의 차원이 아니라 시민 안전과 생존에 직결된 영역”이라며 “한파가 오기 전에 준비하고, 사고가 나면 즉시 복구하는 선제 대응 체계를 끝까지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겨울철 종료 시점까지 동파 예방 대책반을 운영하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과제로 두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