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일보 최은준 기자】 | 최근 일부 극우 보수 유튜버들이 집회와 사회적 사건에서 과도한 행동을 자주 보이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고의적으로 상대 진영과의 충돌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합의금을 노리는 방식으로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유튜버들은 집회 현장에서 폭력을 부추기고 이를 영상으로 촬영해 인터넷에 공개, 이로 인해 불필요한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차례의 집회에서는 극우 유튜버들이 참여해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진 이들과의 물리적 충돌을 촉발시키고, 그들의 영상 콘텐츠로 이를 과시하는 장면이 담겨 논란을 빚었다.
유튜버들은 폭력적인 행위가 촬영되면 그 영상으로 수익을 얻고, 때로는 폭력 행위가 끝난 후 합의금을 통해 추가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당국은 이러한 과잉행동을 자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개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만, 이와 같은 과격한 행동은 공공질서를 해칠 수 있으며,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경찰이 현장에서의 상황을 더욱 면밀히 감시하고, 폭력적인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법적 대응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유튜버들의 행동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근거 마련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은 폭력과 선동적인 콘텐츠를 포함한 영상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유튜버들이 불법적인 행위를 반복하지 않도록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서, 경찰의 보다 체계적인 대응과 함께,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도 책임감을 가지고 폭력적 콘텐츠의 유통을 차단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