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기가 와이 인터넷(GiGA Wi 인터넷)' 가입자가 출시한 지 8개월 만에 20만 명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기가 와이 인터넷은 지난해 6월 KT가 통신 업계 최초로 선보인 신개념 와이파이(WiFi) 서비스다. 기존 유선 와이파이 공유기에 이동형 와이파이 공유기인 '기가 와이파이 버디(GiGA WiFi Buddy)'가 추가됐다. 이용자가 집 안 어디서나 끊김 없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1월 기준 KT 인터넷 신규 고객 중 68%가 '기가 와이파이 홈(GiGA WiFi Home)' 서비스를 가입했으며 그중 36%가 기가 와이 인터넷을 선택했다. 기가 와이 인터넷 가입자 252명 대상으로 실시한 서비스 이용 만족도 조사(5점 척도, 매우 만족∼매우 불만족)에 따르면 '매우만족' 또는 '만족'으로 응답한 가입자가 75%에 달한다. 설문에 참여한 가입자들은 '안정적인 무선 연결'과 '장소 제약 없는 자유로운 설치'를 이 서비스의 장점으로 꼽았다. KT는 기가 와이 인터넷이 큰 사랑을 받는 가장 이유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시행했던 재택근무, 비대면 원격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제13회 '인천공항과 함께 꿈, 그리고 세상을 잇는 전국장애인 문학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항, 여행, 꿈, 장애인 인권, 장애인식 개선'을 주제로 오는 3월 2일부터 4월 16일까지 진행되며, 운문 분야(단편 시, 장시) 및 산문 분야(단편소설, 동화, 수필) 작품을 공모한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 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특히 올해는 응모대상을 장애인 가족 및 자원봉사자까지 확대해 장애인 가족 이야기, 자원봉사활동 수기 등 장애인과 더불어 사는 이야기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공모전이 될 전망이다. 장애인 문학공모전은 장애인의 잠재된 문학적 능력과 역량을 발굴하고,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유도하고자 마련된 '장애인 문학 인재 발굴 프로젝트'로 지난 2009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3회를 맞았다. 문학작품 출품은 ▲방문 접수(인천중구장애인종합복지관 3층) ▲우편(인천시 중구 매소홀로 10) ▲전자우편(jgwelfare2@naver.com) ▲팩스(032-891-0533)를 통해 가능하며, 시각장애인에 한해 음성녹음 파일 제출이 가능하다. 공모전과 관련한 세부 내용과 접수 문의는 인천광역시 중
서울주택도시공사가 가든파이브 툴동 상가 5층 업무시설을 일괄 매각했다. SH공사는 17일 공사가 소유하고 있는 가든파이브 툴동 5층 업무시설 총 273호를 일괄 매각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매각한 업무시설 규모는 총 계약면적 2만2천327.39㎡로, 매각 금액은 약 321억 원에 이른다. 이번 계약으로 가든파이브 툴동 공실률은 30.2%에서 18.1%로 대폭 낮아졌다. 당초 가든파이브 툴동 5층은 '판매시설' 용도로 매각이 진행됐다. 그러나 판매시설에 대한 수요 부족으로 장기간 공실 상태로 남겨졌고, 가든파이브 활성화에 가장 큰 장애물로 꼽혔다. 이와 관련 SH공사는 다양한 활성화 용역과 시장분석을 진행한 결과 업무시설의 경우 시장 수요가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에 해당 시설의 용도를 업무시설로 변경해 매각 활로를 모색했으며, 이번 계약을 통해 그 결실을 보았다. 특히 코로나19라는 국가적 재난으로 실물경제가 위축된 상황에서 이뤄낸 대규모 계약으로, 의미가 더욱 크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이번 매각을 통해 가든파이브 툴동의 고질적인 공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며 "이를 계기로 가든파이브를 보다 활성화할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1' 시리즈의 강력한 혁신 기능을 '갤럭시 Z 폴드2'·'갤럭시 S20' 시리즈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18일 국내와 유럽을 시작으로 독자적인 사용자경험(UX) 원(One) UI 3.1 업데이트를 통해, '갤럭시 S21'의 강력한 카메라·디스플레이·보안 등 일부 신규 기능을 기존 스마트폰에 지원한다. 대상 단말은 '갤럭시 Z 폴드2'·'갤럭시 Z 플립 5G'·'갤럭시 Z 플립'·'갤럭시 S20' 시리즈·'갤럭시 S20 FE'·'갤럭시 노트20' 시리즈다. 삼성전자는 원 UI 3.1 업데이트 지원 단말과 국가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최신 스마트폰 기능을 보다 빨리 더 많은 갤럭시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갤럭시를 사용하는 기간에 항상 최신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 UI 3.1은 보다 쉽게 전문가 수준의 사진과 영상 촬영을 지원한다. 한 번의 촬영으로 다양한 이미지와 영상을 만들어주는 '싱글 테이크'는 최대 15초 동안 사진과 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하이라이트 동영상(Highlight Reel) 등 더 다양한
공연제작사 ㈜에이콤, 서울 예술의전당과 LG유플러스가 문화예술 콘텐츠 사업을 위해 손을 잡았다. LG유플러스는 LG헬로비전과 함께 IPTV 서비스 'U+tv', 케이블TV 서비스 '헬로tv'에서 국내 창작 뮤지컬 '명성황후'를 실시간 독점 중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코로나19로 위축된 공연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미디어 콘텐츠의 다양성을 높이는 상생 전략의 일환이다. 문화 활동이 힘들어진 고객들의 볼거리를 확대한다는 의미도 지닌다. 올해 25주년 기념 공연으로 새롭게 단장한 '명성황후'는 한국 창작 뮤지컬 최초로 미국 브로드웨이와 영국 웨스트엔드에 진출해 세계적 인정을 받은 대형 공연이다. 이번 무대는 '새로운 25년'이라는 콘셉트를 앞세워 무대, 의상, 소품 디자인 등 전체적으로 진화된 모습으로 선보인다. 이번 실시간 중계는 예술의전당 영상화사업 'SAC ON SCREEN'으로 진행돼 더욱 기대를 모은다. 'SAC ON SCREEN'은 공연의 생동감을 바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효과를 통해 공연 실황을 중계한다. 9대 이상의 중계 카메라로 다각도에서 담아낸 역동적인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객들은 오는 27일(오후 7시 30분)과 2
중국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인 춘절이 다가온다.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포함된 전통적인 제당 기법을 계승한 66세 Wu Qizhen은 2월 3일의 춘절을 앞두고 마지막 '달콤한' 주문을 받으면서 직원들에게 흑설탕 제조를 지시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냈다. Mr. Wu의 흑설탕 작업장은 하이난성 하이커우 남쪽에 있는 Zuntan 마을에 건설됐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Zuntan 마을에서는 600년 전부터 전통적인 제당 산업이 시작됐다고 한다. 지역에서 자라는 사탕수수가 Zuntan 흑설탕의 원료가 된다. Zuntan 흑설탕은 즙내기, 끓이기 및 굳히기 같은 절차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영양가와 치유 효과가 높아 '동양의 초콜릿'으로 불린다. Mr. Wu는 즙내기, 여과, 끓이기 및 결정화를 포함하는 조상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기법으로 흑설탕을 제조한다. 원료인 사탕수수액을 시럽으로 만드는 데 약 8~12간이 걸린다. 끓인 시럽을 틀에 붓고, 이를 굳힌 후 공기에 건조시키면 각설탕이 된다. 이 각설탕은 초콜릿과 같은 매력적인 형태와 색을 띠며, 입에서 금방 녹아 신선한 단맛을 낸다. Mr. Wu에 따르면, 지역 주민들은 전통적인 제당 기법에 대해 '달콤하지만, 손이
산시성 시안 Tang Paradise에서, 지난 2월3일 '실크로드 축제 2021 & 실크로드 클라우드 춘절 갈라(The Silk Road Carnival 2021 & The Silk Road Cloud Spring Festival Gala)'가 막을 올렸다.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실크로드 축제' 컨버전스 미디어 웹캐스트 쇼와 3시간 동안 진행되는 '실크로드 클라우드 춘절 갈라'는 전 세계 36개국 시청자에게 실크로드 문화를 소개하고, 그들과 함께 음력 새해를 기념했다. 국무원 신문판공실(State Council Information Office)과 국가광파전시총국(National Radio and Television Administration)의 지휘하에 Shaanxi Broadcasting Corporation이 Wuzhou Communication Center, People's Daily Online 및 취장신구 관리위원회와 함께 이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중국과 더불어 '일대일로' 주변국에서 미디어 웹사이트로 제공됐다. 음악을 들려주는 멋지고 흥미로운 24시간 행사인 '실크로드 축제'는 '음력 새해 음식(A Bite of The
하나은행은 지난 1일 서울시 을지로금융센터지점에 소기업·소상공인 성공지원을 위한 '소상공인드림센터 2호'를 개소했다. 하나은행은 서울시 소재 소기업·소상공인의 지속적인 사업 영위와 성공적인 자립에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으로, 최초 세종시 '소상공인드림센터 1호'에 이어 서울시 을지로금융센터지점에 '소상공인드림센터 2호'를 개소했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드림센터 2호'를 통해 원활한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서울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연계 사업을 통한 지원 사업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7월 전국 하나은행 60개 지점에 설치된 소상공인 현장지원센터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지자체 정책자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부 정책자금을 연계 지원하고 있다. 창업지원부터 재기 지원까지 소기업·소상공인이 필요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지역 내 소기업·소상공인 겪는 어려움에 같이 동참해 지원할 계획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금번 '소상공인드림센터2호' 개소를 통해 지역 경제의 기반인 소기업·소상공인의 성장 발전에 이바지하고, 특히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 비대면 금융상품인 '하나원큐 보증재단 대출' 운용과 더불어 하나
KT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글로벌 사업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 1위 IDC 사업자 KT의 '코리아 원 팀(Korea One Team)형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사업 모델을 해외 시장에 선보인다. 이를 위해 양사는 ▲해외산업단지 내 데이터센터 및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 ▲해외사업 정보 교류 등의 협력을 추진한다. 'Korea One Team형 IDC'는 LH가 해외 국가에 조성한 산업단지 내에 KT가 IDC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은 KT의 안정적인 회선과 통합 운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KT가 설계 및 구축한 IDC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코, Digico)으로 변화를 선언한 KT는 글로벌 사업도 IDC 등 디지털 플랫폼 중심으로 변화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 서울권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인 'KT DX IDC 용산'을 개관하는 등 총 13개의 데이터센터를 운용하고 있다. 국내 최대 IDC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IDC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다양한 확장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하나은행은 신축년(辛丑年) 새해를 맞이해 '하나(Hana) EZ로 해봤소?' 해외송금 이벤트를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해외송금 특화 앱 'Hana EZ'를 통해 ▲해외송금 첫 이용 손님 ▲웨스턴유니온 해외송금 받기 첫 이용 손님 ▲증여성 송금 외국환은행 지정 손님을 대상으로 각각 선착순 2천21명에게 5천 하나머니씩 최대 1만5천 하나머니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2월 말까지 진행한다. 또한 하나은행은 그동안 영업점을 통해서만 가능하던 웨스턴유니온 해외송금 받기를 'Hana EZ' 앱을 통해 직접 계좌로 받을 수 있도록 개편해 비대면 기능을 더욱 강화했다. 영업점 방문 없이도 웨스턴유니온 망을 이용한 해외송금 '보내기'와 '받기' 모두 가능하게 돼 손님의 편의성이 대폭 확대될 예정이다. 하나은행 외환사업단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힘든 상황 속에서도 해외 거주 가족, 지인과 송금을 주고받는 손님들을 응원하고자 이번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외국환 전문 은행으로서 손님들께 더 큰 기쁨과 만족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웨스턴 유니온 망을 통한 해외 송금을 국내 최저 수수료인 $3.99에 제공 중이며, 유학생 및 내국인의 지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