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이 1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청라 G시티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시대변인실]
[박현구 기자】초미에 관심사인 인천 청라 글로벌 G시티(글로벌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생활형 숙박시설 문제로 난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인천경제청과 LH에서 특혜시비 논란을 불식할 수 있는 개발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1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청라국제업무용지 개발과 관련, 이견을 보여 왔던 G시티(글로벌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계속 추진하되 8000실 규모의 생활형 숙박시설은 허용할 수 없다고 경제청의 입장을 밝혔다.
김 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생활형 숙박시설 8000실을 허용하면 청라 계획인구의 20%가 넘는 2만명의 인구가 갑자기 증가하게 돼 학교·교통·기반시설·상하수도시설 등 도시 계획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LH에서 “8000실 안된다. 상당 부분 조정해 사업성을 확보할 정도로 축소해 개발계획 변경을 요청하면 승인을 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청장은 청라국제엄무지구 유보지 34000坪 용지를 제외한 유보지에 국제업무지구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중심상업지역에 생활형숙박시설 용도를 추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의 구체적 처분계획과 공익 목적의 기부채납 계획이 구체화되어있지 않다는 점 등을 이유로 현상태에서는 변경허가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청라 G시티 프로젝트는 2026년까지 청라 국제업무단지 27만8000㎡에 사업비 4조722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오피스·비즈니스파크 등 첨단 업무공간과 주거시설·호텔·쇼핑몰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인천시는 올해 4월 투자기업인 인베스코와 JK미래, LH와 G시티 프로젝트 추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그러나 애초 알려진 것과 달리 LG와 구글의 직접투자 계획이 없고 청라 G시티에 ‘구글시티’라는 이름을 쓸 수 없는 점 등을 고려해 7월에 실시계획 반영 불가 방침을 통보했다.
그러나 김 청장은 일부 주민들이 알고 있는 부분인 LG가 리빙램을 구성하고 구글이 솔루션을 재공한다는 것이다.
올해 8월 말부터, G-city의 개발을 촉구하는 시정 질의와 집단민원, 정치권의 요구가 이어졌다.
한편 경제청은 시장보고회에서 논의된 청라주민에게 이익이 되고 청라발전에 부합하고,많은 벤처기업과 유망기업이 입주해 일자리 창출하되 개발사업자에게 과도한 이득이 돌아가지 않도록 특혜시비 방지대책 및 향후 추진일정계획을 오는 14일까지 제출하도록 LH에 전달했다.
청라국제업무지구 개발에 대해, 김진용 청장은 “청장 책임하에 이 문제를 풀어간다는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